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정보

세탁장인 비법 공개 누런옷 새하얗게 되살리는 과학적인 세탁방법 공개

by lifeisgoody2 2025. 8. 6.
반응형

오늘은 가지고 있던 흰옷이 누렇게 변해서 버려야 하나? 한번 세탁을 해봐야 하나? 세탁한다고 다시 하얗게 변할까? 많은 고민을 하면서 버리지도 못하고 세탁하지도 못하고 그냥 놔두는 경우도 있을 거 같습니다. 관리를 하지 않으면 흰옷이나 흰색 의류는 누렇게 색이 변색되기 쉽습니다. 전문가를 통해 보고 배워 직접 해본 비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세탁방법
세탁방법

1. 락스에 대한 잘못된 세탁 상식

  • 락스는 락스회사조차도 세척제가 아니라고 합니다.
  • 세척은 오직 세제가 담당하는 역할입니다.
  • 락스 사용 시 탈염소 처리 필수적으로 탈염소 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을경우 염소가 섬유에 남아 오히려 옷을 누렇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염소 잔여물은 섬유를 푸르스름하거나 연두색으로 변색시킬 수 있습니다.
  • 일반인이 티오황산나르륨같은 탈염소제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락스 사용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락스로 인한 황변과 땀으로 인한 황변은 다릅니다. 옷 전체가 푸르뎅뎅한 느낌을 띠면 염소에 의한 변색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대부분의 누런 변색은 땀에 의한 것입니다.

2. 누런옷 원인 및 찌든 기름때와 산화된 옷

  • 주된 오염원은 기름입니다.
    • 땀, 피지, 음식물 기름, 눈, 비 등 옷에 달라붙어 누렇게 변색을 시킵니다.
    • 특히 치킨을 튀길 때 발생하는 유증기는 옷에 깊이 배어들어 기름 쩐내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 뜨거운 기름은 더욱 위험합니다.
    • 고온에서 섬유에 달라붙은 기름은 드라이클리닝으로도 제거하기 굉장히 어렵습니다.
    • 이런 기름때가 축적이 되면 옷이 누렇게 변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3. 알칼리 세제 통한 세탁하기

  • 기름때 제거에는 알칼리 세제가 필수입니다.
    • 일반 중성 세제는 기름때를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 중성 세제는 양모, 모직, 실크 등 지방이나 단백질이 포함된 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세제입니다.
    • 알칼리 세제는 기름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때를 효과적으로 분해해 줍니다.
  • 적정 온도와 담금 시간이 중요!!
    • 물 온도는 60도 정도로 시작하여 50도까지 식는 것이 적당합니다.
    • 이 온도에서 기름의 비누화 과정이 가장 잘 일어납니다.
    • 물이 식을 때까지 충분히 담가두면 찌든 기름때가 빠져나옵니다.
    • 세탁물을 조물조물 주무르면 기름때 제거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 세제를 많이 넣기보다는 물을 적게 받아 세제의 농도를 진하게 하는 게 더욱 효과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4. 완벽한 표백 활용하기

위에 알칼리 세제를 통해 기름때를 1차적으로 제거했으면, 이제는 과탄산소다를 통한 표백단계입니다.

1) 과탄산소다 표백 효과를 극대화하기

  • 물티슈 : 물티슈는 표백 안정제역할을 하며, 금속 이온을 봉쇄하여 표백을 방해하는 물질의 간섭을 줄여줍니다.
  • 손소독제나 워셔액 : 글리세린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물티슈와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2) 금속 이온 봉쇄 중요성

  • 사람 몸에서 나오는 철분, 나트륨 등의 금속 이온은 산화표백제와 만나 표백을 방해합니다. 그래서 금속 이온을 봉쇄해야 표백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3) 표백 시 플라스틱 용기 사용

  • 금속 바스켓이 있는 세탁기에 표백하면 표백제가 금속과 반응하여 엄청나게 소모되므로, 플라스틱 용기에서 표백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4) 표백액 활성화 확인

  • 과탄산소다가 완전히 녹고 과산화수소가 나오기 시작하면 표백액이 뿌옇다가 맑아지면서 기포가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 이 기포는 산소 방울이며, 기포가 더 이상 올라오지 않으면 표백 효과도 끝난 것입니다
  • 물티슈 등을 넣으면 기포 발생 속도가 느려지고 오랫동안 지속 됩니다

5) 적정 담금 시간

  • 황변이 가장 심한 부분을 기준으로 완전히 빠질 때까지 담가 두세요.
  • 심한 얼룩의 경우 하룻밤을 담가 두어도 좋습니다. 물 온도가 떨어져도 한번 발동된 표백 효과는 계속됩니다.
  • 이렇게 오래 담가 두면 ph 조절이 용이하고 표백제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여러 번 표백할 필요 없이 한 번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5. 올바른 세탁 순서

1) 기름때 제거가 표백에 선행되어야 합니다.

  • 알칼리 세제로 기름때를 충분히 빼낸 후, 과탄산소다로 표백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기름이라는 본체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아무리 표백제를 사용해도 제대로 된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 세탁되지 않은 옷은 표백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표백제는 기름을 빼줄 수 없습니다.

2) 순서를 바꾸며 표백이 오히려 안될 수 있습니다.

  • 과탄산소다를 먼저 사용하면 빠져야 할 기름때가 오히려 고착되어 더 빠지지 않게 됩니다.
  • 이는 마치 깨끗한 상태에서 염색, 살균, 표백등이 잘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6. 옷감별 맞춤 세탁 가이드

모든 옷감에는 알칼리 세제가 좋은 것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옷감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세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류 알칼리 세제 사용 적합 옷감 중성 세제 사용 적합 옷감
주요 특징 기름기가 없는 섬유, 마참에 강한 섬유 지방이나 단백질이 함유된 섬유, 섬세한 섬유
세부 옷감 면,폴리에스터,레이온,마,속옷,수건,이불,양말 양모,모직,스웨터,실크
세제 선택 이유 옷에 기름기가 없어 옷감 손상 없이 기름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 섬유의 지방/단백질을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
  • 면, 폴리, 레이온 등은 자체적으로 기름기가 없기 때문에 알칼리 세제를 사용해도 옷감이 손상될 염려가 줄어듭니다.
  • 반면 양모, 모직, 실크 등은 지방이나 단백질이 포함된 섬유이므로, 알칼리 세제로 세탁 시 섬유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런 옷감은 반드시 중성 세제로 세탁을 해야 합니다.
  • 중성 세제에 과탄산소다를 섞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알칼리 세제로 충분히 기름을 제거 후 표백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오늘은 세텍방법 및 세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흰옷을 좋아하는데 매번 누렇게 되면 버릴 경우가 많았습니다. 버릴 때마다 아깝다는 생각이 들면서 흰옷을 사게 되는 거 같습니다. 흰옷 세제에 대해 제대로 알고 하시면 흰옷을 더욱 희게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5.08.06 - [생활의 정보] - 모자세탁 전문점처럼 세탁하는 방법 및 세탁시 주의사항 정리(MLB모자,흰모자,명품모자,야구모자)

 

모자세탁 전문점처럼 세탁하는 방법 및 세탁시 주의사항 정리(MLB모자,흰모자,명품모자,야구모자

오늘은 모자세탁을 전문점처럼 세탁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유튜브나 여러 매체를 통해 보고 직접 해본 결과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모자를 자주 쓰는 편이기도 합니다. 특히나 남자

two.lifeisgoody.co.kr

 

 

2025.06.26 - [생활의 지혜] - 옷에 얼룩 제거하는 방법!! 꿀팁 공개!! 10가지 방법 총정리!!

 

옷에 얼룩 제거하는 방법!! 꿀팁 공개!! 10가지 방법 총정리!!

오늘은 옷에 묻은 얼룩 제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밖에서 이쁜 옷을 입고 놀다보면 또는 국물있는 음식을 먹을때 많이 신경을 쓰이는데요 고가의 옷을 입을때는 특히나 신경이 쓰

two.lifeisgoody.co.kr

 

 

 

반응형